J3 -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프로그램 작성법에서는 고유의 약속이 있다고 합니다. 어떤 프로그램이든 문법과 약속을 따라야 하는데, 이번에는 이것에 대해 공부합니다.

패키지문과 공백


아래의 짧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package sample;
public class HelloWorl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1항을 패키지문이라고 하고 2, 4, 8번 라인은 공백 라인입니다. 공백라인은 무시해도 됩니다. 단순히 코드가 눈에 잘 들어오게 하는 것입니다.

클래스 선언

클래스 선언이란 프로그램의 이름을 선언하는 것으로 Java에서는 프로그램을 클래스라고 한답니다. 3번 라인은 클래스가 시작되는 부분으로 클래스 선언이라하고 public class는 클래스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약속문이고 HelloWorld가 클래스 이름이 됩니다. 클래스 이름은 작성자가 마음대로 정하면 되지만 첫 글자는 반드시 영어 대문자여야 합니다.

그리고 5, 6번 라인에 보이는 {, }는 프로그램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인데, 이 중괄호로 묶인 부분을 블럭이라고 합니다.

메소드

위에서 설명한 몸체, 즉 body에 해당하는 부분을 메소드라고 하는데, 이 메소드는 하나의 클래스(프로그램)내에 몇 개라도 만들 수 있습니다만, 저는 초보 중에서도 상초보이기 때문에 일단 메소드가 하나만 있는 클래스만 배우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위의 예제 코드에서 5~7번 라인까지가 메소드 선언이라고 하고 아마도 public static void가 메소드를 선언하는 구문인 것 같습니다. 뒤에 main이 메소드의 이름이라고 하니, 클래스 선언과 같은 구조라면 그렇게 이해하는 것이 맞는 것 같고, 일단 public이 무언가를 선언하는 것이고 static void면 메소드, class면 클래스 선언.... 인 것 같습니다. 아직 책을 다 보지 못했기 때문에 고수님들이 알려주시면 수정하고, 뒤에 다른 내용이 나오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맞으면 이대로 남겠지요 :)


명령문

6번 라인은 Hello World!! 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명령문이랍니다. 이처럼 메소드 안에서 구체적인 일을 실행하는 구문이 명령문이며 모든 명령문은 메소드의 블럭 안에 있어야 합니다. 일단 뭐가 복잡하고 의미도 모르는 단어들이 점으로 구분되어 있긴 한데 여기서는 형태만 눈에 익히고 넘어가는 게 좋겠습니다.

명령문의 마지막에 세미콜론(;)이 붙어 있는데, 이것은 빠지면 안되는 것이고 프로그램에서는 마침표의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면 쉽다고 하니 그런가보다하고 넘기면 될 것 같습니다.


[요약]
1. 프로그램의 시작은 패키지문으로 시작한다.
2. 프로그램 작성은 보기 좋게 공백라인과 들여쓰기로 정리한다.
3. 클래스 선언은 프로그램의 이름을 선언하는 것이며 반드시 영문대문자로 시작한다.
4. 메소드는 클래스를 구성하는 단위다.
5. 명령문은 일을 실행하는 처리구문이며 반드시 메소드의 블럭 안에 있어야 한다.
6. 세미콜론은 줄을 바꿀 때 사용하며 마침표와 같은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