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나름대로 Feel 받아서 일단 여러가지
정보를 입수하고 필요한 기자재들을 구비하기 시작했습니다.
흑백현상과 컬러현상은 기본적으로 그 순서는 같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현상약품과 처리시간, 온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더 좋은 현상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중간중간 추가처리가 필요합니다만, 현상을 처음해보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고 구체적으로 사용기를 적어 보려고 합니다.
본 자가현상강좌는 교육용으로 직접 작성한 것이니, 혹시 타 사이트에 게재하실 경우 특별한 사전연락은 필요 없겠으나 출처를 표기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자, 그럼 임감독이 소개하는 컬러네가 현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필름현상에 필요한 기자재들을 구해야 겠습니다. 컬러든 흑백이든간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만 알아보겠습니다.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자가현상에는 현상탱크, 현상릴, 온도계, 필름와이퍼, 필름클립, 현상약품, 비커 등이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타이머, 필름피커, 암백 등이 필요한데, 일단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위의 사진에 있는 정도면 현상은 가능합니다.
사진에는 없습니다만 필름피커도 구매했는데 누락되어 왔더군요, 이게 있으면 간단하게 매거진에서 필름을 뽑아낼 수 있는데 없는 바람에 필름나오는 홈을 조금 더 벌리고 못쓰는 필름을 이용해 뽑아내는 버라이어티 쇼를 했답니다 -_-;
암튼 필름피커 사용법은 부수적으로 나중에 알아보기로 하구요, 못쓰는 필름으로 매거진의 필름을 뽑아내는 것도 올려보기로 하고 빨리 현상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컬러현상은 위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크게 두 가지 약품을 사용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컬러네가(명암과 색상이 반전되어 기록)필름은 C-41이라는 현상약품을 사용하는 처리방식을 따릅니다.
C-41 컬러현상 프로세스
현상탱크예열 - 발색 - 표백 - 정착 - 중간수세 - 안정 - 수세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컬러네가현상액은 사진에서 보이는 제일컬러와 TETENAL COLORTEC의 제품 중 한 가지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품질은 TETENAL COLORTEC 의 것이 좋다고 하는데 사용자들의 평을 보면 그다지 차이는 없다고 합니다. 또한 국산의 경우 액상으로 되어 있어 온도만 맞추어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TETENAL COLORTEC 의 경우는 분말로 되어 있어 물에 녹여서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제일컬러의 경우 발색모액, 발색보충액, 정착모액, 정착보충액의 4 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TETENAL COLORTEC 의 경우는 발색파우더, 정착파우더와 안정파우더가 포함된 3 가지가 1세트 입니다. 국산현상액에는 정착액에 포함되어있다는데...
믿을만 한 정보인지는 ... -_-;
가격도 싸고, 사용하기도 편리한 제일컬러. 게다가 국산... 저도 처음 해보는 것이라 저렴하고 사용하기 좋은 것으로 구입했구요. 이 친구는 모액을 일정양사용하고 나면 보충액을 모액에 넣어 성분비를 다시 맞추어 주면 된다고 합니다. 제 때에 보충만 잘해주면 모액을 또 구입하지 않고 저렴하게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합니다. 모액에 보충액을 보충하는 것은 차후에 정리하도록 하고, 우선 현상을 위한 준비와 순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우선, 필름피커나 못쓰는 필름을 이용해 매거진에서 필름을 뽑아내고 그림과 같이 필름의 앞부분을 잘라냅니다.
현상릴에 감기좋게 잘리고 남은 필름의 양쪽 모서리를 둥그렇게 잘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
![]() |
현상탱크의 뚜껑을 분리 합니다. 뚜껑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현상릴에 필름을 감고나면
바로 탱크에 넣을 수 있도록 준비를 해 놓습니다.
|
![]() |
강좌에 사용된 현상릴은 독일JOBO사에서 판매하는 플라스틱 현상탱크입니다.
현상릴은 스텐리스 스틸과 플라스틱형이 있는데 장단점이 있습니다.
처음 해보시는 분에게는 플라스틱 현상릴이 사용하기 쉽습니다.
그림과 같이 약간 돌려서 위로 뽑아 내면 60mm 필름도 현상이 가능합니다.
|
![]() |
현상액을 넣으면 재빨리 빨간색 고무재질의 플렉시블캡을 닫아 줍니다. |
![]() |
지정시간이 지나면 탱크의 플렉시블캡만 열어 모액을 따라냅니다.
발색모액과 정착모액은 조건에 따라 최대 4회까지 재활용할 수 있으니 별도의 보관병에
보관해 두시면 됩니다. 발색모액과 정착모액은 섞이면 안되므로 따로 보관하시고, 혼동을 방지하기위해
별도로 보관병에 잘 표기해 두시면 됩니다.
|
![]() |
발색모액을 따라내고나면 바로 정착모액을 탱크에 넣어줍니다.
이 과정 역시 발색처리와 동일하게 교반을 해주시고, 온도를 유지시켜 줍니다.
정착처리는 새 약품을 사용할 경우 6분 30초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 역시 재활용한 약품을 사용할 경우 재활용 횟수에 따라 1분씩 처리시간을 늘려줍니다.
|
![]() |
현상릴에서 필름을 빼낼 때에는 그림과 같이 윗부분을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딸깍 하는 소리와 함께
릴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됩니다. 분리된 필름은 안정액에 넣어 6 분간 처리를 해주기도 하는데
이 과정은 과감히 생략해도 되겠습니다. 물론 처리를 해주면 결과는 필름 수명이 더 오래가겠지요
|
![]() |
수세를 마친 필림은 필름클립 등을 이용해 말리지 않도록 펴서 건조합니다.
(어떤 분은 필름와이퍼를 사용하면 필름면에 스크래치가 생긴다고 사용하지 말라고 하고,
어떤 분은 사용하지 않으면 수분이 제거되지 않아 얼룩이 생긴다고 써야 한다고 합니다...
정답은 직접 사용해 보고 선택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
사실 직접 해보면 그리 복잡한 과정도 아니고, 건조를 제외하면 처리 과정도 약 17~20 여 분이면 끝나는 간단한 작업입니다만 그림과 사진을 곁들여 설명을 하다 보니 복잡해 보이네요^^;
어설프기 그지 없지만 관련자료를 찾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